코딩 부트캠프 100명의 4달간의 온라인 수업을 운영하였다.
그 과정에서 내가 배운 것을 정리해본다.
툴에 관하여 : 100명을 상호작용하는 툴은 디스코드, 줌, 노션이었다.
줌은 화상강의 송출하는 용도로만 사용하였다[실시간강의채널].
디스코드는 강의 할때를 포함한 전시간 소통하는 [소통채널]이었다.
노션은 여러 공지 및 강의 교안, 팀 활동과정의 결과물을 정리하는 [문서채널]이었다.
이 세가지 툴을 써가면서, 더욱더 친숙해졌다.
아래부터는 조금 더 디테일하게 가본다.
- 줌 (←온라인 저장소에 저장할경우, 용량에 따른 요금폭탄 맞을수 있으니 주의 요)
- 호스트 및 공동호스트 권한 : 줌에서 강사등에게 공동호스트 권한을 주어야 한다. 화면 공유, 중지 등을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다.
- 녹화 및 저장소과금 : 특히 과금 부분은 정확한 안내를 찾기 어려워 애를 먹었던 부분이다.
- 녹화는 로컬저장소 또는 줌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. 선택이다.
- 다만 줌 저장소의 경우 기본 용량을 초과분 부터는 일방적으로(?!) 자동 청구된다. 휴지통에 있어도 용량이 산정되니, 잘 체크해야 한다.
- 녹화할 때, 화면 공유 화면영역, 참가자들의 갤러리 화면영역 중에서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. (중복저장 가능)
- 적절히 기본값을 세팅해두면, 미리 줌 주소를 공유한뒤, 호스트가 줌을 열어놓지 않아도, 참가자들 누구든 줌에 미리 들어와 있을수 있다.
- 화면 공유 중 - 컴퓨터 오디오소리만 공유 기능을 통해, 쉬는시간 음악재생만도 가능하다.
- 디스코드 (←요새 다양한 서비스에서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)
- 카테고리 대분류는 대략 이렇다.
- (비공개) 관리자 카테고리 / 공지사항 / 대표채팅채널 /질의응답 / 정보공유 채널 / 소그룹별 채팅(음성)채널